맹무의 생활꿀팁
청년도약계좌 조건, 혜택,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(2025년 기준)
by 맹무
2025. 4. 27.
"나라에서 5천만 원까지 모을 수 있는 계좌라는데…
나도 대상 될까?"
"청년희망적금이랑 뭐가 다른 거야?"
요즘 많은 청년들이 검색하는 주제 중 하나,
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.
하지만 은근히 조건이 까다롭고,
정보가 흩어져 있어서 헷갈리는 경우 많죠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꼭 알아야 할 핵심만
딱 정리해드립니다.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금(기여금)을 붙여주는 장기 저축 상품
최대 5년간 납입, 최대 5,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 가능
은행에서 가입하지만, 정부 지원이 들어가는 반(半)금융정책 상품
청년희망적금보다 더 큰 금액을 모을 수 있고,
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게 특징입니다.
2.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? (가입 조건)
✅ 나이 요건
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
병역이행자는 복무 기간만큼 최대 6년 연장 가능
✅ 소득 요건
개인소득: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)
가구소득: 중위소득 180% 이하 (2025년 1인 가구 기준 약 389만 원/월)
✅ 금융자산 기준
총 금융자산이 2억 원 이하 (2025년 기준)
👉 즉, 연봉이 너무 높거나, 가구 소득이 많은 경우는 가입 불가할 수 있습니다.
3. 얼마까지 납입할 수 있나요?
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
자유롭게 금액 조절 가능 (예: 30만 원만 넣어도 됨)
4. 정부에서 얼마를 지원해주나요?
기초수급자·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: 연 최대 약 240만 원까지 기여금
일반 청년층도 조건에 따라 월 1만~4만 원대 기여금 가능
👉 즉,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지원이 더 커지는 구조입니다.
👉 정확한 기여금은 가입자 소득에 따라 달라지므로 은행 상담 필수!
5.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✅ 정부 기여금 지원
→ 앞서 말한 월별 추가 지원금
✅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(비과세 종합저축)
→ 5년간 이자소득세 면제
✅ 중도 해지 시 일부 지원금 환수 없을 수도 있음
→ 조건 충족 시 페널티 없이 해지 가능
6.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은행 앱 또는 영업점 방문
2025년 기준 신청 가능 은행:
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 + 인터넷은행 일부
정부의 ‘청년도약계좌 미리보기 서비스’ 이용 가능
👉 신청 전에 본인의 조건이 되는지
청년지원플랫폼 에서 사전 확인 가능
7. 헷갈리는 Q&A 정리
❓ 청년희망적금이랑 중복 가입 가능?
→ ❌ 안 됩니다. 둘 중 하나만 가입 가능
❓ 납입을 몇 번 빠뜨리면 어떻게 돼요?
→ 큰 불이익은 없지만 정부 기여금이 줄어들 수 있음
❓ 중간에 해지해도 되나요?
→ 예, 하지만 정부지원금 일부 환수 가능성 있음 (조건 따라 다름)
마무리요약
항목 |
내용 |
가입 나이 |
만 19~34세 (병역자 연장 가능) |
개인소득 |
연 7,500만 원 이하 |
가구소득 |
중위소득 180% 이하 |
납입 한도 |
월 최대 70만 원 |
정부 기여금 |
소득에 따라 월별 추가 지원 |
납입 기간 |
최대 5년 |
비과세 혜택 |
이자소득세 면제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