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내 연봉은 3천만 원인데,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할까?”
“가구소득 기준은 뭔데? 부모님 소득도 포함돼?”
청년도약계좌는 청년 자산형성 정책 중에서도
가장 인기가 많은 상품이지만,
소득기준이 꽤 까다롭고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요.
이번 글에서는
2025년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한 소득 조건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1.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한 2가지 소득 기준
① 개인소득 요건
연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)
→ 월급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 약 625만 원 이하면 됩니다.
→ 연봉 3천~5천만 원대 대부분은 해당됩니다.
② 가구소득 요건
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
이게 가장 헷갈리는 부분인데요,
쉽게 말해 “같이 사는 가족 전체의 소득 합계가
정부가 정한 기준보다 낮아야 한다”는 뜻입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를 보면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| 180% 기준 (월) |
1인 가구 | 약 2,165,000원 | 약 3,897,000원 |
2인 가구 | 약 3,608,000원 | 약 6,494,000원 |
3인 가구 | 약 4,640,000원 | 약 8,352,000원 |
4인 가구 | 약 5,677,000원 | 약 10,218,000원 |
→ 본인이 독립된 1인 가구라면 월소득 390만 원 이하면 통과
→ 부모님과 함께 산다면 부모님 소득까지 합산해서 봅니다
2. 예시로 보는 가입 가능 여부
📌 예시 1
연봉: 3,200만 원
1인 가구
→ 개인소득 OK / 가구소득 OK → 가입 가능
📌 예시 2
연봉: 5,800만 원
부모님과 함께 거주 (3인 가구)
부모님 소득 각각 2,500만 원
→ 가구소득 총합 약 1억 원 → 월 833만 원 수준
→ 3인 가구 중위소득 180% 초과 → 가입 불가
📌 예시 3
프리랜서로 연 소득 6,200만 원
→ 종합소득 6,300만 원 기준 이내 → 가입 가능 (개인소득 OK)
3. 개인소득 vs 가구소득 헷갈리지 말자!
구분 | 기준 | 계산방법 |
개인소득 | 연 7,500만 원 이하 | 근로소득 기준 총급여 |
가구소득 | 중위소득 180% 이하 | 본인 포함 가구 전체 소득 합산 (월 기준) |
※ ‘가구’는 주민등록등본 기준입니다.
※ 독립해서 따로 살고 있다면, 1인 가구로 산정 가능
4. 소득 확인은 어디서 하나요?
국세청 홈택스 → 소득금액증명
건강보험공단 → 건강보험 납부금액으로 가구소득 추정 가능
청년도약계좌 미리보기 서비스 활용
(청년정책 통합포털 → https://www.youthcenter.go.kr)
마무리요약
항목 | 기준 |
개인소득 |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|
종합소득 | 6,300만 원 이하 |
가구소득 | 중위소득 180% 이하 (1인 가구 기준 약 월 390만 원) |
기준년도 | 2025년 기준 소득표 활용 |
참고 | 주민등록등본 기준 가구 구성 확인 필수 |
'맹무의 생활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신청후기-5년 뒤 5천만 원 만들기 도전 (0) | 2025.05.04 |
---|---|
2025년 5월에 꼭 신청해야 할 정부지원금 리스트 (0) | 2025.04.30 |
청년도약계좌 조건, 혜택,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4.27 |
노션 초보를 위한 시작 가이드 4편 – 템플릿 기능으로 기록 자동화하기 (0) | 2025.04.17 |
노션 초보를 위한 시작 가이드 3편 – 표로 나만의 기록 구조 만들기 (0) | 2025.04.16 |